드류 와이즈먼(2)
-
07-Drew Weissman- 과학은 어떻게 세상을 구했는가 (A Shot to Save the World)-Gregory Zuckerman
mRNA백신 기술에 한걸음 더! 슈도유리닌! 길보아가 막판에 ‘수지상 세포’를 활용해 암연구를 하다가 결국 접고 말았던 반면 와이즈먼은 계속해서 수지상 세포에서 HIV 백신을 계발하려고 몰두한다. (*수지상세포란? - JW크레아젠 : 수지상세포는 피부, 위나 장 점막조직, 혈액 등 모든 조직에서 소량 존재하며, 내재면역반응과 적응면역반응을 모두 유도할 수 있는 전문적인 항원제시세포로 면역시스템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7년 와이즈먼은 DNA를 연구하던 사람 이였다. HIV가 만드는 Gag(개그)라는 단백질이 있는데, 이것을 즉시 알아차리고 면역체계가 싸울수 있도록 하는 DNA를 수지상 세포의 DNA에 넣어서 하는 연구 였는데, 그런 그에게, 카리고는 DNA를 사용하지 말고, ..
2023.09.25 -
06-Katalin Kariko 카탈린 카리코-과학은 어떻게 세상을 구했는가 (A Shot to Save the World)-Gregory Zuckerman
mRNA 면역단백질을 슈도유리닌의 발견으로 안전하게 인체로! 내게 많은 여운을 안겨준 과학자, 카탈린 카리코 (Katalin Kariko). 길보아의 연구업적이 한창 쌓이기 시작하던 그즈음이라고 볼수 있는 1997년 펜실베니아 의과대학에서는 카탈린 카리고(Katalin Kariko)와 (다음편에 소개될)드류 와이즈먼(Drew Weissman)이 함께 일하고 있었다. 이 둘은 나중에 멱역단백질을 생성하는 mRNA를 안전하게 인체에 넣어 전달하는 물질을 만드는 연구를 한다. 결국 존 울프의 아이디어를 실제로 가능하게 하는 연구를 한 분들이라고 보면 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너무 마음이 쓰였던 과학자, 카탈린 카리고 (Katalin Kariko). 이야기가 길어질수 있겠지만, 그녀야 말로 그릿 그 자체의 여인..
2023.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