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story(27)
-
15(10/04)-Kerry Benenato 케리 베네나토- 과학은 어떻게 세상을 구했는가 (A Shot to Save the World)-Gregory Zuckerman
또한명의 모더나의 훌륭한 과학자 케리 베네나토! 에스테르를 결합한 지질나노입자 mRNA외투 기술 발견! 난관의 난관을 거듭 맞이하는 모더나는, 2017년 이번엔 또 무슨 어려움에 봉착한 것일까? 카리코와 와이즈먼는 mRNA의 화학 성질을 살짝 바꿔 면역계의 방어망을 피해 들어갈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 모더나는 카리코와 와이즈먼의 연구 라이센스를 갖고있는 펜실베니아에서 이 기술의 라이센스를 갖어올수도 없어 모더나 내에 있던 제이슨 슈럼이 다른 방법을 찾아 냈었었다. 에릭황의 조언으로 모더나는 mRNA로 단백질을 만들기 보다는 백신을 만들기로 결정했었다. 지질 나노입자LNP로 mRAN를 감싸는 기술을 만들긴 했지만, 실험쥐의 근육 깊숙한곳에 주사되어 지고나면 지질나노입자를 낯선 물질로 인식해 급격한 면역반..
2023.10.05 -
14(10/03)-Nianshuan Wang 니안슈앙 왕- 과학은 어떻게 세상을 구했는가 (A Shot to Save the World)-Gregory Zuckerman
프롤린의 발견으로 mRNA 분자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맥렌란과 그레이엄, 그리고 중국에서온 젋은 과학자 니안슈앙 왕과 함께 메르스코로나 바이러스의 백신연구에 돌입한다. 니안슈안 왕은 중국에 있을때 가난한 소작농의 아들 이였지만, 어려서부터 과학에 관심이 많았고, 공부도 잘해 중국 해양대에서 생물학을 전공한다. 2009년 베이징 칭화대애서 구조생물학 박사를 했으며 2013년 코로나 바이러스를 집중 연구하기로 결심 한다.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가 창궐하던 시기 칭화대 안에 꾸려진 연구팀에 합류해 이 바이러스를 연구를 시작한다. 칭화대 연구진들은 스파이크 단백질이 세포표면에의 수용채와 결합을 하는부분의 구조를 밝혀낸다. 즉 인체세포에 바이러스가 어떻게 감염되는지를 알아낸것이다. 왕은 맥렌란의 RSV바이러스 논문..
2023.10.04 -
13-Jason McLellan, and Barney_Graham- 과학은 어떻게 세상을 구했는가 (A Shot to Save the World)-Gregory Zuckerman
코로나 19 백신 토대의 기술 발전에 기여한 정부산하 과학자들의 지치지 않는 노력 제이슨 맥렐란(Jason McLellan)과 바니 그레이엄(Barney Graham) 은 국립 보건원 백신 연구센서에서 만나게 된다. 제이슨 맬렌란은 단백질과 핵산, 탄수화물의 원자형태를 변형해 기능과 동태를 변화시키는 연구를 주로 하는 구조생물학자였다. 바니 그레이엄은 감염질환 전문가 였다. 학계는 질병과 관련된 분자 구조를 상세히 파악해 병원체를 효과적으로 공격해 치료할수있는 백신을 만드는 연구가 한창 이였다. 2008년 당시 바니 그레이엄은 HIV와 호흡기 세포융합바이러스RSV 백신연구를 하며 계속 실패만 맛보고 있던 중이였는데 바니의 팀에는 구조생물학자가 한명도 없었기에 제이슨에게 자기의 팀으로 합류해 보지 않겠냐고..
2023.10.01 -
12 -Eric Huang 에릭 황- 과학은 어떻게 세상을 구했는가 (A Shot to Save the World)-Gregory Zuckerman
mRNA로 단백질 치료제 보다는 백신으로! 2012년 : 계속해서 방셀은 어마어마한 돈이 필요한 모더나의 연구를 위해 돈구하러 다니기 급급했던 상황이였고, 치엔은 자신의 연구성과를 갖고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에 자문으로 일하고 있던 때였다. 이때 아스트라제네카는 임상실험에 연이어 실패하고, 새 경영자를 세웠는데, 파스칼 소리오트 (Pascal Soriot)였다. 그는 새로운 혁신적인 의학품을 만들어내야 하는 절박함에 있었다. 이때 치안이 방셀과 파스칼의 만남의 자리를 주선 한다. 모더나는 2억 4천만달러를 아스트라제네카에게 받고 나중에 치료제가 만들어지면 그에대한 권리를 나누기로 한다. 또한 기술이 어느정도 괴도에 도달했을시 1억 8천만달러를 한번더 제공받기로 한다. 모더나는 다시 힘들 얻는듯 했다. 방셀..
2023.09.30 -
11-Stephane Bancel 스테판 방셀- 과학은 어떻게 세상을 구했는가 (A Shot to Save the World)-Gregory Zuckerman
처음 아페안의 제의를 받았을때 스테판 방셀은 의구심을 저버릴수 없었다. 하지만 결국 모더나에 합류해 새로운 도전을 해보기로 결심한다. 여기서 그의 배경을 잠시 언급해 보자면, 프랑스 남부, 수많은 이민자들이 모여들었던 북아프리가와 지중해 관문인 프랑스의 바르세유에서 자랐다. 이혼한 편모밑에서 자랐고 엄마는 의사였다. 어렸을때는 난독증으로 아카데믹한 부분에서 큰 두각을 보이지 않았던 학생이였지만, 자신의 약점을 보안해 한계단 한계단 학업을 이어 나간다. 어렸을때, 스티브잡스의 전기를 읽고 언젠가는 사업가가 되고 싶다는 꿈도 갖는다. 프랑스의 에콜 상트팔 공과대학에 입학하고, 미네소타대학 화학전공으로 석사를 시작한건 1995년이다. 웨이수 후(Wei-Shou hu)교수는 9개월만에 그가 석사를 마칠수있도록 ..
2023.09.30 -
10-Jason Schrum 제이슨 슈럼- 과학은 어떻게 세상을 구했는가 (A Shot to Save the World)-Gregory Zuckerman
슈도유리닌 기술을 사올수 없다고? 그렇다면 N1-메틸-슈도우리딘으로! 이제부터는 흥미진진한 사업이야기로 흘러간다. 뉴코엘에스 mRAN기술이 차세대 중요한 기술 이라는 것을 알았고, 이제 카리코와 와이즈먼의 mRNA 기술에 대한 법적 권리를 완전히 구축해야 했다. 와이즈먼과 카리코가 있는 펜실베이니아 대학에게 라이센스를 사 와야만 로시가 예비출원해 둔 특허를 발효할 수 있었다. 와이즈먼과 카리코가 발견했던 기술, 즉 mRNA가 인체 면역계의 레이더망을 피해 갈 수 있는 기술(그래야 면역계의 반응으로 공격당하지 않고, 안전히 세포에 공급되어 발현하고 싶은 그 단백질도 발현할 수 있는) 이 기술은 펜실베이니아가 거머쥐고 있었다. 와이즈먼과 카리코도 이 기술로 회사를 설립하고 싶었으나, 학교 측은 엄청난 돈을 ..
2023.09.29